귓불에 작은 멍울이 잡힐 때가 있다.
‘표피낭종’일 수 있다.
표피낭종은 피부 진피에 표피 세포로 이뤄진
주머니가 생기면서 피지·각질이 찬 것이다.
여드름이나 아토피, 피부 손상 등으로 인해 표피 아래에 위치한
진피에 표피 세포가 자라면서 주머니가 만들어진다.
모낭이 막히거나 터질 때 표피 세포가
진피 세포로 옮겨가면서 발생하기도 한다.
귀를 비롯해 얼굴에 가장 많이 생기며, 등, 목, 팔에도 발생한다.
초기에는 대부분 통증이 없으나,
세균에 감염되면 빨개지면서 통증이 생긴다.
표피낭종이 터질 경우 악취와 함께 치즈 같은 물질이 배출되기도 한다.
외부 접촉이 없으면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스럽게 염증이 완화되고 크기 또한 줄어든다.
다만 사라진 후에도,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피로가 누적되면 재발할 수 있다.
통증이 심하거나 자주 재발한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원인을 찾고 치료해야 한다.
항생제 등을 사용해 치료하며, 심한 경우 국소마취 후
피부를 작게 절개해 케라틴 덩어리를 빼내야 할 수도 있다.
표피낭종을 손으로 제거하려 해선 안 된다.
표피낭종에는 피지보다 딱딱한 ‘케라틴’ 성분이 많고
피부 밖과 연결되는 구멍도 매우 좁아 손으로 쉽게 제거할 수 없다.
피부 안에서 주머니가 잘못 터지면 피부 내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긴 회복 기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손상된 부위 주변 조직이 유착되면 치료 후 흉터가 남고,
잘못 제거해 재발·완화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커지기도 한다.
귀를 자주 후비고 만질수록 표피낭종이 생기기 쉽다.
잘 때 귀가 베개에 닿지 않도록 천장을 보고 누우며,
습관적으로 귀에 손을 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예방 수칙 10가지’ (0) | 2022.10.04 |
---|---|
심장마비의 증상 (0) | 2022.10.01 |
피부묘기증 (0) | 2022.09.28 |
빨간 점이 의미하는 피부질환 (0) | 2022.09.25 |
항문외과 의사가 알려주는 똥 잘나오는 자세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