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 중에서도 가장 건강한 '등급'의 대변은
황금빛이 나면서 바나나와 비슷한 굵기·길이를 자랑한다.
하지만 대변이 내려오는 길인 대장에 특정 문제가 생기면
대변의 색깔·모양·냄새가 바뀐다.
특히 대장암의 경우 초기 땐 별다른 자각 증세를 느끼지 못하지만
진행암의 70% 이상에선 예전엔 없던 증상이 나타난다.
매일 공짜로 얻는 대변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이유다.
대변이 보내는 대장암 신호 다섯 가지를 알아본다.
1 썩은 냄새의 대변
2 가늘어지고 납작해진 대변
3 빈혈과 혈변
눈에 띄지 않는 장 출혈 즉,
대변으로 피가 새 나가면서 빈혈이 유발된다.
위암·대장암 등 위장관에 생기는 암은
점막에 궤양성 병변을 만들면서 출혈을 유발해 빈혈을 야기한다.
이때 대변에 피가 묻어 나오는 대변 즉, 혈변은 맨눈으로 쉽게 관찰된다.
이 같은 혈변은 대장 중에서도 직장과 가까운
하행결장(왼쪽 아랫배에 위치)에 암이 생겼을 때 잘 나타난다.
피가 갓 묻어나온 듯 선홍색, 붉은색의 혈변이 특징이다.
반면 항문과 비교적 먼 상행 결장(오른쪽 배에 위치)에 암이 생긴 경우
흘러나온 피가 대장 내에서 오래 머물면서 검게 변해 검은색 대변이 나온다.
단,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은 대장암 외에도
식도암, 식도 출혈, 치질, 치열 등 원인이 여럿이므로 정확하게 감별해야 한다.
4 변실금
보통 노화 특히, 자연분만 경험이 있는 여성에
노후에 변실금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지만,
대장암 환자 가운데 변실금 증상과 함께 잔변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대장암이 항문과 가까운 직장, 하행 결장에 암이 생겼을 때
암 덩어리 때문에 다 배출되지 못하고 남은 대변 때문에 잔변감이 느껴지고,
이 변이 새어 나오면서 변실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변을 봐도 시원하기 보다는 뭔가 남아있는 느낌이
장기적으로 든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5 원인 모를 변비·설사
오른쪽 대장의 내용물은 변에 수분이 비교적 많이 포함돼 있어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문에 암 덩어리가 충분히 커질 때까지는 장이 막히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배변 습관이 달라지지 않고,
증상이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변비보다는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변비'가 동반되는 대장암은 주로 왼쪽 대장인 하행 결장에 암이 생긴 경우다.
횡행 결장을 지나 하행 결장으로 갈수록 대변이 농축되고 대장 지름이 좁아진다.
하행 결장은 오른쪽 대장인 상행 결장보다 지름이 더 가늘다.
이 때문에 암 덩어리가 조금만 커져도
대변이 내려오는 길목이 좁아져 변이 가늘어지거나 막혀 변비가 생기기 쉽다.
철분제를 챙겨 먹거나 다이어트를 하지 않았는데도
변비가 갑자기 생겨 장기화했다면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세 이상 텔로미어 짧아지면 치매·노인 우울증 온다 (0) | 2023.04.21 |
---|---|
자판기 커피, 건강에 괜찮을까? (0) | 2023.04.04 |
잠옷, 며칠에 한 번 빨아야 할까? (0) | 2023.02.28 |
운동 피하면 무릎 관절에 더 나빠 (0) | 2023.02.26 |
이 영상 보고 MRI 비용 아끼세요! (0)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