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PFAS(과불화화합물) 노출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PFAS(과불화화합물)는 조리기구, 화장품, 종이컵, 식품 포장용지,
방수 의류, 얼룩 방지 카펫 등에 쓰이는 화학물질이다.
PFAS는 잘 분해되지 않는 물질이라 대기나 물 등에 남아 음식과 음료를 오염시킨다.
PFAS에 노출되면 혈액을 타고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쳐
암 등 다양한 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다트머스 가이젤 의과대 연구팀이
뉴햄프셔주 포츠머스에 거주하는 1829명의 해산물 소비 습관을 분석했다.
포츠머스 거주민들은 해산물 섭취량이 많았는데 하루 평균 약 28.35g의 해산물을 섭취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거주 지역에서 발견되는 26개의 해산물 품목별 PFAS 수치를 조사했다.
분석 결과, 새우와 바닷가재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PFAS가 검출됐다.
각각 g당 ▲새우 1.74ng(나노그램) ▲바닷가재 3.3ng이었다.
연구팀은 해산물 소비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을 확립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생 동물과 PFAS의 상호작용에 따라 축적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야 한다.
상호작용은
▲수생 동물의 먹이
▲수생 동물의 분포 지역
▲PFAS의 퇴적물 농도 등이다.
연구를 주도한 메간 로마노 박사는
“해산물은 저지방 단백질과 오메가 지방산의 훌륭한 공급원이지만
PFAS나 수은 등 체내에 해로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어
섭취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산부나 노인, 어린이와 같은 취약한 인구는 특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PFAS 노출을 최소화하려면 한 가지 해산물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하고 균형 잡힌 섭취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흔히 쓰는 '이 약', 과사용하면 뼈 잘 부러진다 (0) | 2024.05.15 |
---|---|
치명적 '위암' 신호 (0) | 2024.05.13 |
'이 음식' 먹을 때 속 메스꺼우면… 췌장 건강 빨간불! (0) | 2024.04.30 |
치과의사가 경고한 ‘양치질’ 절대 하면 안되는 시간 (0) | 2024.04.29 |
식빵 '이곳'에 보관했다 먹으면 (0) | 202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