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에서 기도이물폐쇄의 원인은 대부분 음식물이다.
주로 음식을 먹다가 갑자기 호흡곤란과 괴로움을 호소하는데.
양 손으로 목을 감싸 쥐면서 괴로워하는 것이 특징적인 징후이다.
성인에서는 주로 고령의 노인에게 흔하다.
식사 등의 활동을 하면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 의하여 목격 되는 경우가 흔하다.
기도폐쇄 환자에게는 빠른 응급 처치가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평소 기도이물폐쇄에 대한
응급처치법에 대하여 숙지할 필요가 있다.
순서와 방법
상태체크 및 119 신고 → 기침 유발 → 복부 밀어내기
1. 상태체크 및 119 신고
2. 기침 유발
환자가 스스로 기침이 가능할 경우, 방해하지 말고 기침을 유발한다.
환자의 등 뒤에서 주먹 쥔 손을 배꼽과 명치 중간 정도에 위치시킨다.
배꼽과 명치 중간 위치에 주먹 쥔 손의 엄지 손가락이 배에 닿도록 놓는다.
3. 복부 밀어내기
4. 무한 반복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119 도착 시까지 복부 밀어내기를 반복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진행하도록 한다.
심폐소생술 과정에서 구조호흡 시 이물이 입 안에 있는지
확인하고 보인다면 손을 이용해 제거하여 준다.
주의사항
· 만약 말을 할 수 있다면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기침이 가능하다.
있게 기침을 해서 이물을 뱉어내도록 유도한다.
이때, 환자가 자발적으로 기침을 하여 이물을 빼내려는 노력을
중단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 복부 밀어내기는 복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복부 밀어내기로 기도의 이물을 빼내었다고 해도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복부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복부 밀어내기를 기도폐쇄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는 절대 시행하지 않는다.
· 임신한 여성이나 비만이 심한 경우에는 배를 누르지 않고 가슴을 누르도록 한다.
예방
음식을 먹을 때는 서두르지 않고 완전히 씹어 먹도록 한다.
특히 고기나 떡 등은 큰 덩어리로 한꺼번에 먹지 않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먹도록 한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음식을 누워서 먹는 경우
흡인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반드시 상체를 30도 이상 세우도록 한다.
음식을 먹을 때는 서두르지 않고 완전히 씹어 먹도록 한다.
특히 고기나 떡 등은 큰 덩어리로 한꺼번에 먹지 않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먹도록 한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음식을 누워서 먹는 경우
흡인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반드시 상체를 30도 이상 세우도록 한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에 ‘20분’만 걸어도 대장암 사망 위험 낮아진다 (0) | 2022.11.16 |
---|---|
응급 피임법 (0) | 2022.11.11 |
암 전문가의 냉장고 (0) | 2022.11.10 |
"파킨슨병 징후, 진단 6년 전에 나타난다" (0) | 2022.11.08 |
추운 날씨 허리 통증 줄이는 방법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