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는 묵직한 아랫배와 소화불량을 유발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다.
변비를 해소하고자 흔히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찾아 먹곤 한다.
하지만 변비 종류에 따라 오히려 식이섬유가 독이 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식이섬유 과량 섭취하면 경련성 변비 증상 악화
경련성 변비는 대장이 불규칙하게 운동하면서
대변을 제대로 이동시키지 못해 생긴다.
배변 욕구가 느껴지고 비교적 자주 변을 보지만 개운하지 않은 게 특징이다.
변이 딱딱하고 동그랗게 끊어져 '토끼 똥'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에 경련이 생길 때 대변이 작게 조각나기 때문이다.
경련성 변비에는 식이섬유를 많이 먹으면 안 좋다.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해 장을 자극하면 오히려 경련이 심해질 수 있다.
채소를 먹을 때는 삶거나 데쳐 부드럽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따뜻한 물을 마시는 등
수분을 공급해 변을 부드럽게 만드는 게 좋다.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도 경련성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된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장을 자극하는
▲맵고 짠 음식
▲알코올
▲탄산음료
▲기름진 음식
▲지나치게 차가운 음식은 피하는 게 좋다.
◇이완성 변비라면 식이섬유 풍부한 음식 섭취해야
반대로 직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져 생기는이완성 변비는
변비 해소를 위해 식이섬유가 많이 든 음식을 먹어야 한다.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해야
장이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변비 증상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이완성 변비는 주로 장의 운동이 느려지면서 발생한다.
배변 주기가 불규칙하고
주로 한 번에 많은 양의 변을 내보내는 게 특징이다.
변이 장에 오래 머무르면서 변의 부피가 작고 딱딱해진다.
초기에는 증세가 없지만 심해지면 복부 팽만감, 압박감을 느끼고
아랫배에서 딱딱한 것이 만져지기도 한다.
주로 노인·비만인·임산부 등에서 나타난다.
이완성 변비 해결에는 불용성 식이섬유인
곡류, 콩류, 과일, 채소, 견과류, 버섯류 등과,
수용성 식이섬유인 해조류를 꾸준히 먹는 게 좋다.
식이섬유가 많이 든 음식을
하루 1.5~2L의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먹으면 더욱 좋다.
또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해 배변 주기를 일정하게 만들어야 한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톱 아래쪽 초승달·반달 모양… 클수록 건강하다고? (0) | 2023.06.05 |
---|---|
‘가슴 답답함’ 유발하는 질환 3가지 (0) | 2023.06.04 |
집에서 할 수 있는 두드러기 대처법 (0) | 2023.06.01 |
뇌졸중은 뇌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0) | 2023.05.29 |
피부암VS 점, 구별법 (0)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