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입가 뾰루지 대처법

월광화 2024. 3. 26. 11:34

 

 

 

입가에 따끔거리는 뾰루지가 생기면 성가시기도 하지만, 미관상 좋지 않다.

입가에 작은 물집이 잡히는 건 대개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헤르페스라는 이름 탓에 성병을 떠올리기도 하지만,

입에 생기는 물집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 1형(HSV-1) 때문으로

성적 접촉과는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흔하지 않지만 생식기 부위에 성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2형(HSV-2)이 원인일 수도 있다.

바이러스는 한번 침투하면 증상 없이 잠복한다.

그러다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다른 질환을 앓거나, 호르몬에 변화가 생길 때 증상이 나타난다.

다행스러운 건 잘 대처하면 2~4주 사이에 사라진다는 점이다.

자료를 토대로 입가 뾰루지 대처법을 알아봤다.

 

|손대면 안 돼|

물집이 솟아나면 터뜨리고 싶다. 그러나 절대 해서는 안 된다.

터뜨리는 순간 박테리아에 의한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다.

치료 기간이 길어질뿐더러, 자칫 흉이 생길 수도 있다.

 

|항 바이러스제 복용|

물집이 잡히기 전, 가렵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이 먼저 나타난다.

이때 병원을 찾아 항 바이러스제 처방을 받아 복용하면 물집이 생기기 전에 제압할 수 있다.

처방약을 복용하며 스테로이드 크림을 바르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단, 항 바이러스제를 복용하지 않으면서 스테로이드 크림만 쓰는 것은 위험하다.

스테로이드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능력을 약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차가운 수건으로 냉찜질|

미국피부과학회는 차가운 수건으로

하루 한 번 5~10분간 물집이 생긴 부위를 냉찜질하면 좋다고 권고한다.

 

|선크림 바르기|

잠복했던 바이러스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활동한다.

햇볕도 피부 스트레스 중 하나다.

평소에 자외선 차단지수 30 이상의 선크림을 바르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입술 보습제를 사용하면 입가 뾰루지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피해야 할 식품|

증상이 나타나면 자극적인 음식을 피해야 한다.

맵거나 지나치게 짠 음식은 물론,

파인애플, 토마토, 오렌지 등 산성이 강한 과일도 조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