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은
범어로 아바로키테스바라(Avalokitesvara)이며 관자재,
관세음, 광세음 등으로 한역하며 대자대비를
근본서원으로 하시는 분이십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부처님이나 아미타불 보다도 더 많이 신봉되는
분이지요.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절 이름
가운데 가장 많은 이름이 관음사
혹은 관음암이라고 합니다.
관자재라는 이름은
중생의 근기를 살펴 행하는데 자유자재 하다는 의미로
지혜를 바탕으로 한 반야경 등에서 일컷는 이름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반야심경에서도
"관자재보살이 깊은 지혜로..." 이렇게 나가지요.
관세음보살은
중생들의 여러가지 고통에 찬 소리를 눈으로 보듯이 살피고
해결해 준다는 의미로 법화경을 비롯하여 여러 경전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능엄경에서는 관세음보살이
이근원통(耳根圓通)의 보살로
다른 모든 보살보다 더 위에 계시다고 합니다.
그래서
원통교주라고도 불리 웁니다.
아미타불의 좌보처보살로서
보타락가산에 거주하시지요.
중생들에게 일체의 두려움으로 부터 건져주신다 하여
시무외자,
자비를 베푸시는 분이라 하여 대비성자,
세상의 중생들을 구제해 주시는 분이라 하여
구세대사(救世大士)라 불리기도 합니다.
관세음보살님은
중생의 근기에 따라 갖가지 모습을 보이시는데 33가지
대표적인 모습으로 나타나십니다.
이것을 보문시현(普門示現)이라고 합니다.
강화도의 보문사도 이 글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왼손에 연꽃을 들거나 감로병을 들고 계시며
머리의 화관에
아미타불을 모시고 다니는 여성의 모습으로
즐겨 나타내며
흰옷을 입으시므로 백의대사라고도 하는데 이는
관음보살의 고결함을 의미합니다.
관음이라고 약칭하는데 보통 6관음을 말하며
성관음, 천수관음, 마두관음, 십일면관음,
준제관음, 여의륜관음 등이 그것입니다.
외에도 청경관음, 양류관음, 대륜관음,
수월관음, 군다리관음등 수많은 관음의 모습이 있습니다.
성관음이 본신이시며,
나머지는
다 보문시현하시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관세음보살은
주존으로 모시는 전각을
관음전, 원통전이라 하며,
남해용광과 남순동자를 좌우 보처로 하여 삼존불로
모시기도 합니다.
세계적으로 많이 모셔지고 있으며
티벳의 포탈라궁도 보타낙가에서 온 말이며,
중국의 주산열도에 있는 보타낙가산,
한국의 강화도(석모도)의 낙가산 보문사도 낙가산이
보타낙가의 준말이며,
낙산사의 낙산도 물론 보타낙가의 준말입니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관음기도지로는
강화도(석모도)의 보문사,
남해 보리암,
낙산사 홍련암이 있고,
근래에는 여수 향일암과 기장의 해동용궁사,
양양의 휴휴암 등이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천수관음은
천수천안관세음이라고하며 천이라는 숫자는 무한을
나타 낸다고 보아 관음의 자비력을 최대한
강조한 것으로 봅니다.
천수천안경에 의하면 "일체 중생을 이익되게 하고
안락하게 하기 위하여
몸에 천수천안이 생겨나게 하소서"라고 원하여
천수천안의 모습이 되었다고 합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분황사의 천수관음벽화를 보고
기도한 희명의 아이가 눈을 뜨게 되엇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믿어진 관음보살님이 십니다.
준제관음은
준지 혹은 준니라고도 합니다.
범어은Cundi로서 청정이라는 뜻이며
모성을 상징한다고도 합니다.
준제관음은 칠구지불모라고도 하는데 구지라는 말은
천만 혹은 억을 나타 내는 인도의 단위이미 칠구지란
무한대의 숫자라 할 수 있습니다.
준제관음은
중생의 모든 재난을 없애주고 소원을 성취시켜 주며,
목숨을 연장시켜 주고 자식을 구하고자 하는
소원을 이루어 주신다고 합니다.
'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의 벗어나지 않는 스님 호칭 (0) | 2022.07.10 |
---|---|
스님의 호칭 (0) | 2022.07.10 |
명부시왕 탱화 이미지 (0) | 2022.06.14 |
삼신불(비로자나불상·석가모니불·노사나불상) (0) | 2021.06.28 |
3대 관음 성지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