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
특히 중·장년층에게 매우 중요하다.
적당량을 챙겨 먹으면 노화 속도를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매일 1kg당 1g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게 좋다.
몸무게가 65kg이면, 단백질 65g을 챙겨 먹는 식이다.
◇단백질 부족, 만성질환 유발우리 몸은 약 5만 개의 단백질로 구성돼 있다.
근육을 합성하는 것은 물론
▲세포 신호를 전달하고
▲생리 반응을 유발하고
▲열을 발생하고
▲혈당도 조절한다.
이렇게 중요한 단백질을 우리는 매일 섭취해 보충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단백질을 섭취해도 몸에서 받아들이지 못한다.
소화기관에 단백질이 들어왔다는 것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단백질 합성 반응도 늦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근단백질 합성(MPS) 과정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40세부터는 해마다 근육이 1%씩 줄어드는 근 손실이 일어난다"며
"신체활동이 부족하거나, 만성질환이 있으면
노화로 인한 근육 손실은 더 빨라진다"고 했다.
근육량이 부족하면,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져 당뇨 발병 위험이 커진다.
근육이 관절과 뼈를 보호하지 못해 골절 위험이 커지고,
혈관의 힘이 떨어져 심혈관질환 위험도 커진다.
실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12년 추적 연구에서,
단백질을 하루 권장량보다 75% 미만 섭취한 노인(65세 이상)은
적정량(1g/kg의 75% 이상 125% 미만) 섭취하는 노인보다
사망위험이 24%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0kg 중년, 매일 60g 단백질 먹어야
다행히 단백질을 많이 먹으면, 근육이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70세 이상 성인 206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대 연구팀 연구에서, 단백질 섭취를
평소 많이 한 사람일수록 근육량이 높게 오래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몸무게 1kg 당 1.0~1.2g 정도를 섭취하면 된다.
'ADVANCES IN NUTRITION'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에서
노인은 1.0g/kg 이상은 먹어야
골격근 합성 작용을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백질 부족하면 종아리 부피 줄고 일어서기 어려워져
평소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체내 단백질의 약 65%는 골격근에 있어,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골격근부터 달라진다.
종아리 둘레가 32cm 미만이라면,
반드시 충분한 단백질 섭취와 근력 운동을 해야 한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국내 노인 657명을 대상으로 실험했을 때,
근감소증을 진단받은 환자의 82%가
종아리 둘레 32cm 미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근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유럽노인병학회에서 발표한
'근감소증 새로운 진단 기준'에는 앉았다 일어서기 속도가 포함된다.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5회를 15초 안에 할 수 있어야 한다.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 6:4 비율로 챙겨야
단백질은 45~60%는 동물성, 40~55%는 식물성 공급원으로 채우는 게 좋다.
국제스포츠영양학회 권고 기준이다.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은 체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인다.
동물성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 철 등
미네랄이 풍부하고, 골격근 합성 작용을 자극한다.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때
자연스럽게 섭취하게 되는 심혈관질환 발병 인자가 적고,
mTORC1(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
mTORC1은 영양소, 성장인자 등으로부터 오는
자극을 통합해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작업을 한다.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피스타치오, 퀴노아, 병아리콩, 완두콩 등이 있고,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계란, 치즈, 연어, 닭가슴살, 소고기, 우유 등이 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려면? (0) | 2024.06.30 |
---|---|
‘아침’ 샤워 vs ‘저녁’ 샤워… 몸에 더 좋은 건? (0) | 2024.06.23 |
‘해산물’이 암 위험 높이는 이유 (0) | 2024.06.14 |
혈액형따라 잘 걸리는 질환 달라 (0) | 2024.06.13 |
살찌는 체질, 간단 판별법…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