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방 58

선학원 태동기

만해스님 과 그리고 을 살펴보면 민족불교의 선양과 불조정맥 계승의식 그리고 일제의 사찰정책에 항거했던 스님들의 면모를 엿볼 수 있습니다. 1921년 친일성향의 사판계(事判系)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남전 도봉 석두스님 등 민족불교선각자들은 3·1운동으로 투옥되었던 이판계(理判系)의 지도자 만해 스님의 출옥에 앞서, 만해 스님을 중심으로 임제종 운동의 계승과 전통 선풍을 진작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이에 이판계의 수도원(修道院)을 창립하고자 당시 최창훈 외 다수 신도의 기부받는 한편, 임제종 인사동 포교당의 자재와 기와를 기부 받아 안국동 40번지에 수행도량을 건축하였습니다. 일제의 사찰정책에 대항하려는 수좌스님들의 희망과 노력은 1922년 3월 30일에 ‘선우공제회’ 건립으로 결실 맺게 되었습니다. ‘..

자료방 2020.08.15

우리나라 지역명칭의 유래

○ 지방 명칭의 유래와 사용 시기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8도의 지방 명칭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만들어진 이름들입니다. 그러나 그 지역의 범위까지 확정된 것은 조선 태종 - 세종 때 서북 방면과 동북 방면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압록강 - 두만강 일대를 우리 강토로 회복한 이후부터이며 그 시기는 대략 1500년대 초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00道」라고 할 때의 ‘도(道)’는 “00 방면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서 원래는 조선시대 역을 관장하는 찰방의 관직 앞에 붙어있었던 명칭과 비슷한데, 조선시대의 광역지방 명칭으로 이런 체제를 따르게 된 것 같습니다. 가. 경기도(京畿道) : ‘경기’란 ‘서울을 둘러싼 그 문지방’이라는 뜻이다. 곧 도읍지의 주변지역을 말한다. ‘경기’라는 이름은 1..

자료방 2020.08.07

매국노 이완용의 죽음

일가붙이 부호의 양자로 가다 이완용은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백현리의 가난한 선비 이호석(李鎬奭)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이들 이씨는 본관이 우봉(牛峯)으로 대대로 노론계열에 속했다. 이호석의 5대조 이재(李縡)는 숙부 이만성(李晩成)이 신임사화 때 노론계열로 죽임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용인에 은거하며 성리학에 몰두했다. 그 뒤 이들 자손은 영락하여 겨우 선비 체면만 세우며 살았다. 이완용은 여느 경우처럼 아버지에게서 천자문,동몽선습 따위를 배우다가 열 살 때에 이호준(李鎬俊)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이호석과 이호준과는 6대조에서 갈려나갔으니 먼 일가붙이였으나(32촌) 이호준의 집안은 거의 대대로 양자로 가계를 이어왔기에 당내친(堂內親, 8촌 이내의 가까운 친척)에서는 양자를 구할 수가 없었다. 이호준은 ..

자료방 2018.09.28

친일파 명단

매국노 이완용 정계, 관계, 실업계 (43명) 이성환 (李晟煥) : 임전보국단 간부, 국민동원총진회 이사장 (15) 이승우 (李升雨) : 전 경성부회 의원, 전 국민총동원 이사 (15) 윤치호 (尹致昊) : 1945년 12월 사망 (13) 김연수 (金秊洙) : 경성방직 사장, 전 만주국 명예총영사 (8) 고원훈 (高元勳) : 중추원 참의, 전 도지사 (10) 신태악 (辛泰嶽) : 변호사 (5) 조병상 (曺秉相) : 종로경방단장 (10) 여운홍 (呂運弘) : 친일논문 발표, 시국 강연 (2) 인정식 (印貞植) : 사회주의에서 전향후 국민문학 등에 친일논문 발표 (3) 박희도 (朴熙道) : 전 동양지광 사장 (1) 이각종 (李覺鐘) : 전 총독부 촉탁, 국민정신총동원 연맹 상무이사 (1) 김한경 (金漢卿) ..

자료방 2018.09.28

탕평책과 탕평채

탕평책의 뜻 조선 말기, 영조와 정조가 당쟁(黨爭)의 폐해(弊害)를 없애기 위해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여 당파 간의 정치 세력에 균형을 꾀하던 정책. 영조 좀 마른 스타일로 신경질적인 이미지가 있다. 영조는 평생을 음식을 가려 먹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만큼 자기관리가 철저했다는 반증이다. 영조는 콤플렉스가 매우 심한 사람이었다. 조선은 철저한 신분사회였다. 그 신분이라는 것은 부계사회이므로 아버지에 따라 운명이 결정될 것 같지만 실상은 그 반대였다. 농경사회여서일까? 씨보다 밭을 중요하게 여겼다. 아버지의 신분이 높더라도 어머니의 신분에 따라, 양가 출신의 첩의 자식은 ‘서얼’, 종이나 천민을 어머니로 두었으면, 본인도 종이나 천민의 신분을 받게 되는 것이 조선의 법이였다. 천한 무수리 출신인 어머니의 아..

자료방 2015.10.02

정순왕후(貞純王后)

정순왕후 산소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1745년 12월 2일 (음력 11월 10일) 1745년 12월 2일 (음력 11월 10일) ~1805년 2월 11일 (음력 1월 12일)는 조선의 ~21대왕인(英祖) 영조의 계비이다. 정식시호는예순성철장희혜휘익렬명선수경광헌융인정현소숙정헌정순왕후 (睿順聖哲莊僖惠徽翼烈明宣綏敬光獻隆仁正顯昭肅靖憲貞純王后)이다.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徐氏)가 죽자 1759년(영조 35) 왕비에 책봉된 뒤 가례를 행하고, 1772년에는 예순(睿順)을 비롯하여 성철(聖哲)·명선(明宣)·융인(隆仁) 등의 존호를 받았다. ■ 영조 시대 강빈(姜嬪)의 신원을 주청하다 장살당한(金弘郁)의 김홍욱 현손인 김한구와 원풍부부인 원씨의 딸로 현재의 충남 서산에서 태어났다. ■ 생애 1745년 정..

자료방 2015.10.02

골초! 정조 임금

오늘은 담배 얘기를 해볼까 한다. 우리나라에 담배가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이후로 대략 1610년 이후 광해군 즈음에 일본을 통해서, 그리고 북경을 내왕하는 상인에 의해 들어왔다. 그 당시 담배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반응이 어땠을까? 담배의 첫 맛은 고약한데 지나고 나면 다시 찾게 되고, 피울 때는 뭔가 몽롱한 것이 머리를 맑게 해주는 듯한 중독성 내지는 환각성이 대마초에 버금가는 것이었을 것이다. 대마초는 국법으로 금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담배가 대마초 대용으로 널리 확산되었을 것이다. 현재의 담배 모습은 그 크기나 모양이 갈수록 진화하고 발전되었지만 우리나라에 담배가 처음 들어왔을 때는 잎을 그냥 둘둘 말아서 피우거나 담배 잎을 잘게 잘라 곰방대에 꾹꾹 눌러 피우는 형태로서 니코틴 흡수율 100% 였..

자료방 2015.10.02

이산은 당뇨병 탓에 세상을 떠났다.

(군복입은 정조대왕) 조선 정조(1752~1800년)가 쓴 비밀편지가 공개되면서 정조의 사인(死因)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 합병증이 유력한 사인으로 떠올랐다 이 편지들을 뜯어보면 한동안 당연시됐던 독살설의 가능성이 뚝 떨어집니다. 사인(死因)은 무엇일까요? 당뇨병일 가능성이 높은 듯합니다. 정조는 승하 2개월 12일 전에 “갑자기 눈곱이 불어나고, 머리가 부어오르며 목과 폐가 메마른다”고 썼고, 승하 13일 전에는 “뱃속의 화기가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가지는 않는다. 올해 한 해 동안 황련을 1근 가까이 먹었다. 마치 냉수 마시듯 하였으니 어찌 대단히 이상한 일이 아니겠는가. 이밖에도 항상 얼음물을 마시거나 차가운 온돌의 장판에 등을 붙인 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이는 일이 모두 고생스럽다”고..

자료방 2015.09.29

조선왕들의 독살설

조선시대 왕들의 사망원인과 나이 1. 태조 - 사망원인 : 중풍 + 화병 - 사망나이 : 74 2. 정종 - 사망원인 : 자연사 - 사망나이 : 63 3. 태종 - 사망원인 : 폐렴 - 사망나이 : 56 4. 세종 - 사망원인 : 당뇨 +성병 - 사망나이 : 54 5. 문종 - 사망원인 : 등창 - 사망나이 : 39 6. 단종 - 사망원인 : 세조에 의한 암살 - 사망나이 : 17 7. 세조 - 사망원인 : 문둥병+불면증 - 사망나이 : 52 8. 예종 - 사망원인 : 복상사 - 사망나이 : 20 9. 성종 - 사망원인 : 등창 + 폐병 - 사망나이 : 38 10. 연산군 - 사망원인 : 괴질 - 사망나이 : 31 11. 중종 - 사망원인 : 등창+울화병+노환 - 사망나이 : 57 12. 인종 - 사망원..

자료방 2015.09.29